사성제(四聖諦)Ⅰ

불타사교리연구회

  흔히 연기설(緣起說)에는 크게 자내증(自內獞)의 법문(法門)과 화타(化他)의 법문이 있다고 합니다. 자내증의 법문이란 부처님께서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었을 때 또는 그 이후에 선정(禪定)에 드셔 통찰하신 법으로 불교의 근본교리를 스스로의 깨달음을 위해 고찰하고자 설하신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12연기설이 여기에 속합니다. 한편 화타의 법문이란 다른 사람을 위해 연기설을 알기 쉽게 설한 것으로 네가지의 성스러운 진리 즉 사성제(四聖諦)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사성제는 이론적이면서도 실천을 중요시하는 가르침이라고 하겠습니다.
  전법륜경(轉法輪經)이라는 경전에는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어신 이후 처음으로 다섯 비구에게 불법을 설하신 대목이 나오는데 그때 설법의 내용이 바로 사성제(四聖諦)였다고 합니다. 그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구들이여 태어남(生)도 고(苦)요, 나이를 먹는 것(老)도 고(苦)요, 병이 나는 것(病)도 고(苦)요, 죽는 것(死)도 고(苦)라, 또한 미운 사람과 만나는 것(怨憎會)도 고(苦)요,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愛別離)도 고(苦)요, 얻 고자 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求不得)도 고(苦)요, 무엇인가를 취하고자 하 는 몸과 마음 모두(五取蘊)가 고(苦)다. 이것이 고(苦)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苦聖諦)이니라.
  비구들이여, 윤회전생(輪廻轉生)의 원인이고 기쁨과 탐욕을 부르고 온갖 쾌락을 즐길려는 것 바로 갈애(渴愛)가 다름아닌 고(苦)가 일어나는 원인이 니라. 이를 일컬어 고(苦)의 생기(生起)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苦集聖諦)라 하노라.
  비구들이여, 고(苦)의 원인인 갈애(渴愛)를 남김없이 버리고 집착(執着)을 떠나는 것을 고(苦)를 없애는 것에 관한 진리(
苦滅聖諦)라 하느리라.
  비구들이여,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이라는 여덟가지의 바른 방법을 통해 서 얻는 성스러운 진리(八正道, 八支聖諦)야말로 고(苦)를 멸할 수 있는 방법 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苦滅道聖諦)라 일컫는니라.
  
이와같이 사성제에 있어 고(苦)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여덟 가지 고(苦), 즉 팔고(八苦)가 설해져 있는데 이는 고(苦)가 무엇인지를 대단히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또한 집(集)이란 고(苦)의 원인을 일컫는 말로서 갈애(渴愛)를 들고 있습니다. 갈애란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원하는 것으로 갈망(渴望)이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생명이 있는 것들이 살아 남고자 하는 끈질기고도 강한 생명력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멸(滅)이란 위의 팔고(八苦)가 없어진 깨달음의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도(道)란 마치 의사가 수술에 환자의 수술에 들어가기에 앞서 환자의 증상을 정확하게 살피고 그 원인을 바르고 구체적으로 파악한 후에 집도(執刀)에 들어가는 것처럼 환자의 증상(八苦)와 그 원인(集)인 갈애(渴愛)를 거짓없이 이론적으로 완전히 파악한 후 그것을 제거할 수 있는 실천 방법으로 여덟가지 바른 길, 팔정도(八正道)를 제시하고 계십니다.
  따라서 이 사제성를 우선 1)이론적으로 바르게 이해한 다음 2)그에따라 참다운 실천을 행하여 3)이론과 실천이 하나가 되었을 때 비로소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같은 3가지 단계를 원시불교에서는 삼전(三轉)이라 하며 각각 시전(示轉), 권전(勸轉), 증전(證轉)이라고 합니다. 한편 아미달마 불교에서는 시전을 견도(見道)의 지위에, 권전을 수도(修道)의 지위에 그리고 증전을 무학(無學) 즉 아라한(阿羅漢)의 지위라고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성제의 원리는 현대 과학의 합리적 사고 방식으로도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합리성과 체계성을 근본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당면한 인생의 현상(現象)이 무엇인가를 충분히 파악하고, 두 번째 단계로서 그 원인을 규명하고 마지막으로 우리 중생이 삶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만 하는가 하는 실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다음은 고집멸도(苦集滅道)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